전체 메뉴

전체 메뉴닫기

공간계획설계정책학과

 건축, 도시, 조경 등 공간분야 학과들의 협업으로 탄생한 학과로서 정책과 행정실무, 계획-설계-실행-운영을 아우르는 교육-연구-정책-설계의 통합적 과제 도출 및 실행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공공기관과의 협업 및 혁신적 교육‧연구 조직 구축으로 미래 지향적 교육‧연구 방향을 선도한다.

교수진

도시환경정책전공(Major in Urban Environmental Policy)
직명 성명 전공 학위
교 수 김 소 라 건축설계 건 축 학 석 사
교 수 황 지 은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인포메틱스 디자인학박사
교 수 서 현 보 건축계획 건축학박사
교 수 황 경 주 건축구조디자인 공학박사
교 수 양 승 우 도 시 설 계 공학박사
교 수 유 석 연 도시계획 도시계획학박사
교 수 김 정 빈 도 시 설 계 건축학석사
교 수 우 명 제 경제개발, 지역계획, 성장관리 도시및지역계획학박사
교 수 김 아 연 조경 및 단지설계 조경학석사
교 수 김 영 민 조경설계 조경학석사
교 수 윤 정 원 건 축 설 계 건축학석사
교수 박 찬 융합환경계획 공학박사
부교수 김 충 호 도시설계및계획 도시설계및계획학박사
부교수 이 재 호 공원 및 커뮤니티 계획 공원및커뮤니티계획학박사
조교수 우 정 현 도시계획 및 디자인 도시계획및디자인학박사
공간계획설계정책학과 주임교수 : 양 승 우

공간계획설계정책학전공(Major in Spatial Policy, Planning & Design)

지적 및 GIS전공(Major in Cadaster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분 교과번호 교과목 학점 강의 실습
전공선택 4300 현대건축과사회공간 2 2 0
4301 지속가능건축세미나 2 2 0
4302 건축제도와정책 2 2 0
4303 건축공간계획및설계 2 2 0
4304 디지털 공간과 문화 2 2 0
4305 지속가능한 도시공간계획 2 2 0
4306 도시성장및균형발전 2 2 0
4307 공간정책연구방법론 2 2 0
4308 도시공간설계론 2 2 0
4309 창조도시기획및운영세미나 2 2 0
4311 도시공간디자인론 2 2 0
4312 공간정책세미나 2 2 0
4313 조경정책연구방법론 2 2 0
4314 도시조경공간문화론 2 2 0
4315 환경생태계획 2 2 0
4316 역사문화경관계획 2 2 0
4317 경관설계론 2 2 0
4318 융합리서치스튜디오 1 2 2 0
4319 융합리서치스튜디오 2 2 2 0
4320 융합리서치스튜디오 3 2 2 0
4321 융합리서치스튜디오 4 2 2 0
4322 융합리서치스튜디오 5 2 2 0
4323 융합리서치스튜디오 6 2 2 0
4324 도시조경설계사례연구 2 2 0
4325 공간계획세미나 2 2 0
4326 건축공간의장특론 2 2 0
4327 건축설계세미나 2 2 0
4328 도시공간설계세미나 2 2 0
4329 도시디자인과공간거버넌스 2 2 0
4330 도시설계와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2 2 0
4331 농촌계획론 2 2 0
4332 조경역사컨텐츠이해 2 2 0
4333 환경생태체계Ⅰ 2 2 0
4334 전공연구프로젝트Ⅰ 2 2 0
4335 전공연구프로젝트Ⅱ 2 2 0
4336 공간계획과공간개발기법연구 2 2 0
4337 공간개발투자분석기법연구 2 2 0
4338 지속가능공간설계론 2 2 0
U43900 논문연구 0 0 0

교과목 개요

4300 현대건축과사회공간(Modern Architecture and Social Space)

근대건축의 발전과정과 현대건축의 새로운 경향 및 그 이론을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 고찰한다.

4301 지속가능건축세미나(Seminar in Sustainable Architecture)

지구환경보전에 대한 건축가의 책임을 인식하면서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환경측면에서 건전한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을 이해한다. 건축에서의 환경친화적인 태도, 실제 디자인에의 적용방식에 대해 연구한다.

4302 건축제도와정책(Public Policy and Law in Architecture)

건축분야의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정책에 대한 논의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법제도에 관하여 강의한다.

4303 건축공간계획및설계(Spatial Design and Planning in Architecture)

설계에 관련된 여러 내용을 체계적 접근방식을 통해 연구하고 개인 및 팀별로 실제 작품제작을 실시한다.

4304 디지털 공간과 문화(Digital Space and Culture)

디지털패러다임으로서의 전이에 따른 건축 내에서의 담론의 변화를 건축가들의 실제작품을 통해 분석하며 건축가라는 전문직 내에서의 환경변화와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4305 지속가능한 도시공간계획(Sustainable Urban Planning & Design facing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의한 전세계적인 위기상황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논의와 함께 현재 계획 및 설계분야의 주요 이슈이다. 이를 위해 신설하고자 하는 당해 과목의 내용은 미래세대를 위해 부담을 줄여주는 ‘지속가능한 개발’ 및 20세기 후반 ‘기후변화’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 이에 대응하는 ‘도시계획 및 설계 분야의 정책 및 방법론’, ‘선진사례’ 등이다.

4306 도시성장및균형발전(Urban Growth and Balanced Development)

도시화에 따른 문제발생의 배경과 문제의 심각성을 개관하고 이의 해결을 위한 계획적 접근방법을 고찰하여 도시관리체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균형발전과의 관계를 고찰한다. 또한, 도시관리의 모든 측면, 즉 재정, 인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통, 공공시설, 주택, 토지 등을 고찰함으로써 실천적 적용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4307 공간정책연구방법론(Theories and Methods of Spatial Policy Research)

공간정책연구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을 학습하고, 실제 논문작성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실습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공간정책연구의 기본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다학제적 융복합 연구방법론을 이해하고, 양적/질적/통합 연구방법론에 대해 관련 이론과 방법에 태해 탐구한다. 나아가 초록 및 연구계획서 작성, 선행 연구 분석, 문헌 인용 및 서지 프로그램 활용 등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 실습을 수행한다.

4308 도시공간설계론(Theory for Urban Spatial Design)

도시설계 실제사례들을 둘러봄과 동시에 그 이론적인 바탕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탐구한다. 도시설계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의 이해에서부터 실제 프로젝트를 분석하여 그 이면에 놓인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토론한다. 이론과 실무의 균형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4309 창조도시기획및운영세미나(Creative Urban Place Making and Operation Seminar)

창조도시 공간의 기획, 재생전략 등의 사례를 살펴보고 분석한다. 이를 통해 창조공간을 만드는 재생방법, 정책, 실행 주체에 대해 체계를 공부하고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함께 토론하는 수업이다.

4311 도시공간디자인론(Emerging Concepts in Urban Space Design)

도시 및 건축의 형태와 공간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친 철학적, 실천적 이론들을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넘어서서 섭렵하고, 미래에 새로운 도시를 조성함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적합한 도시형태를 모색한다.

4312 공간정책세미나(Seminar in Spatial Policy, Planning & Design)

좋은 도시 실천 및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시, 건축, 조경 등 공간분야의 융합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공간분야 전문가들의 윤강을 통해 공간 관련 정책, 계획, 설계의 수립 사례를 탐구하고, 미래 도시문제의 해결 및 도시공간환경의 통합적 정책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발굴한다.

4313 조경정책연구방법론(Theory and Methods in landscape Policy Analysis)

조경정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공간현상에 대한 인식 및 이에 대한 대응절차 및 방법, 정책영향 등을 이해해야 한다. 이에 본 교과에서는 통계적 방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및 공학, 자연과학 등의 이론을 접목하여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4314 도시조경공간문화론(Cultural Studies of Urban Landscape)

현대 도시화 과정 속에서의 도시조경의 역할과 의미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며, 오늘날 도시의 변화를 규정할 새로운 매체로서 경관의 가능성을 살펴보며 도시의 공간, 문화적 담론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본다.

4315 환경생태계획(Environmental Ecology Planning)

식물, 동물, 토양 등 생태계 구성인자에 대한 현장조사능력을 배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자원의 가치를 평가하여 보존과 이용을 조화시키는 환경생태계획을 심층 연구한다.

4316 역사문화경관계획(Historic Cultural Landscape Planning)

역사문화자원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도심부 문화재와 역사문화경관의 현황을 진단한다. 이를 통해서 역사문화경관의 문제점과 기회요소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역사도심의 경관 관리 방향을 모색한다.

4317 경관설계론(Topics in Landscape Design)

경관과 관련한 다양한 접근법을 이해하고, 경관계획과 경관설계 과정의 주요 쟁점을 이론과 사례연구를 통해 접근한다.

4318 융합리서치스튜디오 1(Interdisciplinary Research Studio 1)

건축, 도시, 조경 등 공간분야 정책, 계획, 설계 등의 이슈에 대한 프로젝트형 융합 리서치 스튜디오로서 도시문제 해결 및 미래변화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융합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4319 융합리서치스튜디오 2(Interdisciplinary Research Studio 2)

건축, 도시, 조경 등 공간분야 정책, 계획, 설계 등의 이슈에 대한 프로젝트형 융합 리서치 스튜디오로서 도시문제 해결 및 미래변화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융합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4320 융합리서치스튜디오 3(Interdisciplinary Research Studio 3)

건축, 도시, 조경 등 공간분야 정책, 계획, 설계 등의 이슈에 대한 프로젝트형 융합 리서치 스튜디오로서 도시문제 해결 및 미래변화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융합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4321 융합리서치스튜디오 4(Interdisciplinary Research Studio 4)

건축, 도시, 조경 등 공간분야 정책, 계획, 설계 등의 이슈에 대한 프로젝트형 융합 리서치 스튜디오로서 도시문제 해결 및 미래변화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융합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4322 융합리서치스튜디오 5(Interdisciplinary Research Studio 5)

건축, 도시, 조경 등 공간분야 정책, 계획, 설계 등의 이슈에 대한 프로젝트형 융합 리서치 스튜디오로서 도시문제 해결 및 미래변화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융합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4323 융합리서치스튜디오 6(Interdisciplinary Research Studio 6)

건축, 도시, 조경 등 공간분야 정책, 계획, 설계 등의 이슈에 대한 프로젝트형 융합 리서치 스튜디오로서 도시문제 해결 및 미래변화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융합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4323 융합리서치스튜디오 6(Interdisciplinary Research Studio 6)

건축, 도시, 조경 등 공간분야 정책, 계획, 설계 등의 이슈에 대한 프로젝트형 융합 리서치 스튜디오로서 도시문제 해결 및 미래변화에 대한 대응을 목표로 융합교육 및 연구를 수행한다.

4324 도시조경설계사례연구(Case Studies in Urban Landscape Design)

현대도시조경설계 사례를 중심으로 현대 도시와 조경 설계의 담론을 파악하고, 설개개념, 전략들을 비평적으로 검토하고 비교 연구한다.

4325 공간계획세미나(Spatial planning seminar)

건축계획의 이념 및 그 원리의 발생과 전개에 관한 세미나로 구성원들이 주제 및 그 가정을 제시하고 함께 토의한다.

4326 건축공간의장특론(Architectural design and detail)

집단군으로서의 건축물에 대한 설계의 기본이론 즉 도시속에서 건축물 간의 비례, 형태, 색채조화이론을 연구한다.

4327 건축설계세미나(Architectural design seminar)

설계방법과 프로세스, 건물형태와의 다양한 연관관계에 주목하여 기존 건축가 작품을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공간구축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4328 도시공간설계세미나(Urban space design seminar)

도시환경의 구조이해, 도시설계의 학문적 기원으로부터 지구단위계획에 이르는 개념적, 제도적 변화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공간환경 구성의 제반요소들에 대한 지식과 이론체계를 연구한다.

4329 도시디자인과공간거버넌스

도시공간에서 사람들을 위한 ‘장소’를 만든다는 것은 물리적 개선과 함께 비물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그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공간의 기획, 설계, 운영에 이르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간 조성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조성 이후의 운영과 활용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이 수업은 도시에서 장소만들기에 관한 총체적 이해와 공간운영의 원리를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4330 도시설계와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Web 1.0인 월드 와이드 웹(WWW)은 사용자가 신문이나 방송처럼 일방적으로 정보를 받는 것이었고, Web 2.0은 참여, 공유, 개방의 플랫폼 기반으로 정보를 함께 제작하고 공유하는 것이라면 이제 Web 3.0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Web 3.0은 보다 입체적인, Web 2.0의 평면적 한계를 뛰어넘은 공간적 의미의 체계가 중요한 의미로 작용한다. 메타버스, NFT등의 키워드로 시작되는 Web3.0의 시작, 가상세계에서의 공간이 입체화되는 시대, 이 새로운 변화에 도시공간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는 수업이다.

4331 농촌계획론(Theory of Rural Planning)

이 교과목은 기존 농촌관광계획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농촌계획/관광으로서의 흐름변화에 대해 공부한다. 과거 마을만들기의 근간이 되었던 새마을운동부터 현재의 농촌 마을 만들기까지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농촌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를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농촌마을 만들기의 유형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주민간의 갈등과 그 속성에 대해 공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주민주도의 농촌 마을 만들기의 방향에 대해서 공부한다.

4332 조경역사컨텐츠이해(Understanding Historical Contents of Landscape Architecture)

본 교과목에서는 서양 조경이 시작된 고대부터 중세, 그리고 르네상스를 거쳐 현대에 이르는 대표적 조경 사례를 살펴본다. 이것은 조경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앞으로 이루어질 조경 작업의 자원을 축적하는 효과적 방법이다. 또한 현재 시점에서 과거의 역사자원을 바라보는 관점을 경험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4333 환경생태체계Ⅰ(Environmental Ecosystem I)

생태계의 기본 원리와 개념, 도시환경을 지배하는 자연적․인위적 인자의 분석․종합을 통해 인류 활동의 규모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체계적으로 다루어 인간생태계와 자연생태계가 잘 조화되어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4334 전공연구프로젝트Ⅰ(Pre-thesis SeminarⅠ)

본 교과목의 수강생은 담당교수와 개별 연구주제를 정하고 심도있는 지도를 통해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경과에 대해 담당교수로부터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최종 결과물로 연구수행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

4335 전공연구프로젝트Ⅱ(Pre-thesis SeminarⅡ)

본 교과목의 수강생은 담당교수와 개별 연구주제를 정하고 심도있는 지도를 통해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경과에 대해 담당교수로부터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으며 최종 결과물로 연구수행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

4336 공간계획과공간개발기법연구(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이 교과목은 공간계획및개발에 있어 공간계획체계와 공간개발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고, 공간개발에 있어서 사업유형및절차(Flow) 그리고 개발금융구조를 연구하기로 한다. 나아가 PF(Project Financing)방식 등 사업기획단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법, 계획체계 및 재원조달기법과 사업타당성분석, 수익성분석, 시장분석, 마케팅기법 등 사업전반에 걸쳐 요구되는 전문지식들을 연구하고 사업시행(Real Estate Development) 및 사업관리(Project Management)관련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공간계획 및 공간개발사업 관련 전문성과 사업시행시 Risk Management능력을 배양하는데 수업목표가 있다.

4337 공간개발투자분석기법연구(Urban Real Estate Investment and Management)

이 교과목의 수업목표는 공간개발기획 및 관리(Real Estate Investment and Management)에 있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지는 사업특성의 이해, 투자분석기법과 개발용도별 시장조사분석기법 등을 연구하고 나아가 공공사업과 민간사업의 부동산개발사업 기획단계에서 요구되어지는 사업타당성분석과 수익성분석, 시장분석과 마케팅분석 등 부동산투자개발사업 전반에 걸친 전문지식들을 연구하는 것이며 부동산개발, 투자사업(Real Estate Investment)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전문성과 Risk Management능력을 배양하는데 수업목표가 있다.
본 교과목의 또 다른 수업목표로는 대학원생으로서 발표 및 토론능력을 배양하고 공간개발과 투자 및 관리(Real Estate Investment and Management)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다양한 주제를 논의함에 따라 공공, 민간분야에서 실무 또는 관련정책수립시 보다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사고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4338 지속가능공간설계론(Sustainable Spatial Design Theory)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간설계의 이론과 방법론을 학습하고, 과거와 현재의 다양한 공간설계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 공간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근대 이후로 지속되어온 급속한 도시화 및 주류 어바니즘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견지하고, 장기적이며 장소지향적이고 문화맥락에 맞는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공간설계 방안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도시화 과정의 주요한 사례들에 대한 역사적인 분석 연구뿐만 아니라, 구미와 아시아를 비롯한 세계 여러 지역들에 대한 인류학적인 비교 연구를 수행한다.

U43900 논문연구

수료생은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하기 위해서 연구생으로 등록을 하여야 하며, 이때 수강신청하는 교과목으로서 학점과 강의는 없다.